![article thumbnail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buXcea%2FbtsC31nNo5Y%2F1ViRcWKQEZQ57PFNJp6WW0%2Fimg.png)
2448번. 별 찍기 - 11
Algorithm/백준 알고리즘
2024. 1. 6. 17:30
아이디어 출력을 보고 유추할 수 있는 것은 N = 24 일 때의 별은 N = 12 일 때의 별을 3개 출력한 결과라는 것이다. 따라서 재귀함수를 활용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고 각 별이 출력되는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좌표와 별의 크기를 입력으로 받는 재귀함수를 만들면 된다고 생각했다. 해당 함수를 draw(int i, int j, int N) 이라고 가정하고 예제를 살펴보면 draw(0, 0, 24) -> draw(0, 12, 12) -> draw(12, 0, 12) -> draw(12, 24, 12) 와 같이 N = 24 짜리 별을 위해서 (0, 12) 에서 시작해 N = 12 인 별, (12, 0) 에서 시작해 N = 12인 별, (12, 24) 에서 시작해 N = 12 인 별을 출력..